반응형

API Hooking 에서 사용되는 각종 방법들에 대한 Tech Map 을 소개하고 간략한 설명을 하겠습니다.

API Hooking 의 기본 소개는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참고: API Hooking - 리버싱의 '꽃'



API Hooking Tech Map


아래 그림이 API Hooking 의 모든 기술적 범주를 포함하는 Tech Map 입니다.


<Fig. 1>

위 Tech Map 을 이용하면 그 동안 막연하게만 보였던 API 후킹이 (기술적으로) 단번에 파악됩니다.

API 후킹 작업을 할 때 상황에 맞게 위의 Tech Map 에서 적절한 기법을 골라서 적용하시면 됩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법은 빨간색으로 표시하였습니다.)


[ Method – Object (what) ]

API 후킹 방식(Method)에 대한 대분류 입니다.

API 후킹 방식(Method)는 작업 대상(Object)에 따라서 크게 static 방식dynamic 방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static 방식은 작업 대상(Object)이 ‘파일’이며, dynamic 방식은 작업 대상이 프로세스 ‘메모리’ 입니다.
일반적으로 API 후킹이라고 하면 dynamic 방식을 말하며, 매우 특수한 상황에서 static 방식을 사용할 때도 있습니다.

각각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표에 정리하였습니다.


<Fig. 2>

* static 방식은 여러 가지 단점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 어려운 부분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특수한 경우에 사용되기도 하므로 여기서는 소개 정도만 하고 넘어갑니다.


[ Location (where) ]

대상의 어느 부분을 공략(조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반적으로 3 군데의 공략 위치가 있습니다.

1) IAT

IAT 에 있는 API 주소를 후킹 함수 주소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장점은 가장 단순하며, 구현 방법이 가장 쉽습니다.

단점으로는 IAT 에 없는데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API 들에 대해서는 후킹할 수 없습니다. (예: DLL 을 동적으로 로딩해서 사용하는 API)

2) Code

프로세스 메모리에 매핑된 시스템 라이브러리(*.dll)에서 API 의 실제 주소를 찾아가 코드를 직접 수정해버리는 방법입니다.

참고로 이 방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며, 구현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여러 가지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 처음 5 byte 를 JMP XXXXXXXX 명령어로 패치하는 방법
- 함수 일부를 덮어쓰는 방법
- 필요한 부분만 일부 변경하는 방법

3) EAT

DLL 의 EAT(Export Address Table) 에 기록된 API 의 시작 주소를 후킹 함수 주소로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개념은 간단하지만 코드 구현에 있어서 위 2) 번 방법이 더 간단하고 강력하므로 EAT 수정 방법은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 Technique (How) ]

후킹 대상 프로세스 메모리에 침투하여 후킹 함수를 설치하는 구체적 기법(Technique)에 대한 내용입니다.

크게 Debug 와 Injection 기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Injection 기법은 다시 Code 와 Dll 기법으로 나뉘어 집니다.

A) Debug

대상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면서 API 후킹을 하는 방법입니다.

아마 이 말이 무슨 의미인지 이해가 잘 안 되는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그게 디버깅이지 무슨 API 후킹이야?” 하고 말이죠.

디버거(Debugger)는 디버깅 당하는 프로세스(Debuggee)에 대한 모든 권한(실행 제어, 메모리 액세스, 기타)을 가지기 때문에, Debuggee 의 프로세스 메모리에 후킹 함수를 자유롭게 설치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Debugger 는 일반적인 OllyDbg, Windbg, IDAPro 등이 아니라, 후킹을 위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프로그램입니다.
즉, 프로그램 내에서 Debug API 를 이용하여 대상 프로세스에 Attach 하고 (실행이 잠깐 멈춰진 상태에서) 후킹 함수를 설치합니다. 그 후 실행을 재개시키면 완벽한 API Hooking 이 이뤄지는 것입니다. (XP 이상의 시스템에서는 Debuggee 의 종료 없이 Debugger 를 Detach 시킬 수 도 있습니다.)

물론 기존 디버거(OllyDbg, Windbg, IDAPro)에 자동화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API 후킹을 자동화 시키는 방법도 있습니다. (특히 Immunity Debugger 같은 경우 강력한 전용 Python 스크립트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 방식의 장점은 구현만 완벽하다면 (하나의 프로세스에 대한) 가장 강력한 후킹 방법입니다. API 후킹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실행 흐름 까지도 완벽히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API 후킹 도중이라도 사용자가 Interactive 하게 프로그램의 실행을 멈추고 API 후킹을 추가/수정/제거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식과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

단점은 Debugger 에 대한 지식(혹은 자동화 스크립트에 대한 지식)이 필요합니다. 또한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많은 테스트가 요구됩니다. 이와 같은 단점들 때문에 (강력함에도 불구하고) 범용적으로는 사용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B) Injection

Injection 기법은 해당 프로세스 메모리 영역에 침투하는 기술로써 Injection 대상에 따라 B-1) Code InjectionB-2) DLL Injection 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DLL Injection 기법이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DLL Injection 기법은 대상 프로세스로 하여금 강제로 사용자가 원하는 DLL file 을 로딩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DLL Injection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예전의 제 글을 참고하세요. DLL Injection - 다른 프로세스에 침투하기 (1))

Injection 할 DLL 에 미리 후킹 코드와 설치 코드를 만들고 DllMain() 에서 설치 코드를 호출해 주면 Injection 되는 순간에 API 후킹이 완료됩니다.

Code Injection 기법은 기존 DLL Injection 보다 좀 더 발전된 (복잡한) 기술이며, 주로 악성코드(바이러스, 쉘코드, 기타)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DLL Injection 은 AV 제품에서 탐지가 잘 되므로, 악성 코드들은 좀 더 탐지하기 어려운 Code Injection 을 많이 시도하고 있습니다.)

Code Injection 기법의 구현방법은 상당히 까다로운 편입니다. 그 이유는 DLL Injection 처럼 완전한 형태의 PE 이미지가 아니라 실행 코드와 데이터만 Injection 된 상태에서 자신이 필요한 API 주소를 직접 구해서 사용해야 하며, 코드 내의 메모리 주소에 접근할 때 잘못된 주소를 액세스 하지 않도록 매우 주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말로만 설명하면 어렵습니다. 나중에 코드를 보며 직접 실습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직접 해보시면 왜 어렵다고 말씀 드렸는지 느낌이 팍 오실 것입니다.)

[ API ]

Tech Map 에 소개된 방법들을 실제로 구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API 들을 소개합니다.

한번씩 읽어 보시고 향후 실습할 때 사용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위에 소개된 API 말고도 OpenProcess(), WriteProcessMemory(), ReadProcessMemory() API 들은 다른 프로세스 메모리에 접근하려고 할 때 항상 사용되는 API 들입니다.


+---+

설명이 많이 길었습니다.
다소 지루하시더라도 세부 기술 설명에 앞서 이러한 이론적인 설명은 꼭 필요합니다.

위와 같이 Tech Map 으로 전체 기술에 대해 이론적으로 잘 정리해 두면 기술에 대해서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실전에서 (상황에 맞게) API Hooking 을 적용하기 쉬워집니다.

다음 번 포스트에서는 위 방법을 하나씩 실습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tatic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각 경우에 대한 실습을 진행하면서 그때그때 필요한 설명은 자세히 추가하겠습니다.




ReverseCore


반응형
반응형

 

앞에서 DLL Injection 의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CreateRemoteThread() API 를 이용하여 DLL Injection 을 실제로 구현 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DLL Injection 의 또 다른 구현 방법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ppInit_DLLs


Windows 운영체제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레지스트리 키 중에서 AppInit_DLLs 란 것이 있습니다.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dows
  AppInit_DLLs


<Fig. 1>

AppInit_DLLs 값에 인젝션을 원하는 DLL 경로를 써준 후 재부팅하면, 이후 Windows 운영체제는 재부팅하면서 실행되는 모든 프로세스에 해당 DLL 을 인젝션 시켜줍니다. 너무 간단하면서도 너무 강력한 기능이지요.

간단한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일단 아래 myhack2.cpp 소스를 보시죠.

// myhack2.cpp

#include "windows.h"

#define DEF_CMD  "c:\\Program Files\\Internet Explorer\\iexplore.exe"
#define DEF_ADDR "www.naver.com"
#define DEF_DST_PROC "notepad.exe"

BOOL WINAPI DllMain(HINSTANCE hinstDLL, DWORD fdwReason, LPVOID lpvReserved)
{
    char szCmd[MAX_PATH]  = {0,};
    char szPath[MAX_PATH] = {0,};
    char *szProcess = NULL;
    STARTUPINFO si = {0,};
    PROCESS_INFORMATION pi = {0,};

    si.cb = sizeof(STARTUPINFO);
    si.dwFlags = STARTF_USESHOWWINDOW;
    si.wShowWindow = SW_HIDE;

    switch( fdwReason )
    {
        case DLL_PROCESS_ATTACH :
            if( !GetModuleFileName( NULL, szPath, MAX_PATH ) )
                break;
   
            if( !(szProcess = strrchr(szPath, '\\')) )
                break;

            szProcess++;
            if( stricmp(szProcess, DEF_DST_PROC) )
                break;

            wsprintf(szCmd, "%s %s", DEF_CMD, DEF_ADDR);
            if( !CreateProcess(NULL, (LPTSTR)(LPCTSTR)szCmd,
                               NULL, NULL, FALSE, 
                               NORMAL_PRIORITY_CLASS,
                               NULL, NULL, &si, &pi) )
                break;

            if( pi.hProcess != NULL )
                CloseHandle(pi.hProcess);

            break;
    }
  
    return TRUE;
}

소스 코드 내용은 간단합니다.
현재 자신을 로딩한 프로세스 이름이 "notepad" 라면 IE(Internet Explorer) 를 숨김모드로 실행시켜 Naver 사이트에 접속하게 됩니다.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겠죠?

차례대로 따라해보겠습니다.

#1. 파일 복사

myhack2.dll


첨부된 파일을 적절한 위치에 복사합니다. (제 경우엔 C:\work\myhack2.dll)

#2. 레지스트리 값(AppInit_DLLs) 입력

regedit.exe 를 실행하여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myhack2.dll 의 전체경로를 입력해주세요.)

HKEY_LOCAL_MACHINE\SOFTWARE\Microsoft\Windows NT\CurrentVersion\Windows

<Fig. 2>

#3. 재부팅

재부팅이 완료되었으면 Process Explorer 를 이용해서 과연 myhack.dll 이 모든 프로세스에 인젝션 되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Fig. 3>

myhack2.dll 이 모든 프로세스에 성공적으로 인젝션 되었습니다.
인젝션된 myhack2.dll 은 아무 동작을 하고 있지 않습니다. (notepad 프로세스만 대상으로 한다는 걸 기억하세요.)

notepad 를 실행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IE 가 (숨김 속성으로) 실행되는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Fig. 4>


* 주의!
AppInit_DLLs 레지스트리 키는 너무나 강력해서 모든 프로세스에 DLL 을 인젝션 시켜버립니다.
만약 인젝션되는 DLL 에 문제(버그)가 있다면 자칫 Windows 부팅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Window Preinstalled Environment 부팅 CD (예:BartPE)가 없다면 복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AppInit_Dlls 를 사용할 때는 사전에 철저한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SetWindowsHookEx() - message hook


SetWindowsHookEx() API 를 이용하여 메시지 훅을 설치하면 OS 에서 hook procedure 를 담고 있는 DLL 을 (윈도우를 가진) 프로세스에 강제로 인젝션 시켜줍니다.

이 또한 DLL Injection 의 한 기법입니다.

자세한 설명은 제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Windows Message Hooking (윈도우 메시지 후킹)


다음번에는 실행파일의 PE Header 정보를 조작하여 원하는 DLL 파일을 로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DLL Injection 이라고 할 수 는 없습니다만, 리버싱에서 즐겨 사용되는 방법이기에 같이 소개합니다.)


Dll Injection - 다른 프로세스에 침투하기 (4)


ReverseCore


반응형

+ Recent posts